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월세 20만원 지원받는방법????? 2025년 2학기 ‘주거안정 장학금’ 총정리

by cho617 2025. 9. 9.
반응형

대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주거안정 장학금 신청이 시작됩니다. 원거리 진학으로 인해 주거비가 필요한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학생에게 **월 최대 20만 원(연 240만 원)**이 지원됩니다. 월세뿐 아니라 기숙사비, 고시원비, 공과금, 대출 이자까지 활용할 수 있어 꼭 챙겨야 할 혜택입니다.

 




1️⃣ 주거안정 장학금 개요

  • 지원 대상: 만 39세 이하 미혼 대학생(재학생, 신입생, 편입생)
  •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연 최대 240만 원
  • 지원 범위: 월세, 기숙사비, 고시원비, 관리비, 수도세, 연료비, 대출 이자 등 주거 관련 비용 전반

👉 청년 월세 지원금과 달리, 지역 제한이 없고 전국 대학생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신청 방법 및 일정

  • 신청 기간: 2025년 8월 13일(수) 오전 9시 ~ 9월 10일(수) 오후 6시
  • 서류 제출 및 가구원 동의: 2025년 8월 13일 ~ 9월 17일 오후 6시
  • 학기 단위 신청: 1학기 수혜자도 2학기 다시 신청해야 함
  • 신청 채널: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 모바일 앱

📱 모바일 신청 절차

  1. 한국장학재단 앱 접속 → 로그인
  2. 메뉴 → 장학금 → 장학금 신청 → 통합 신청
  3. 학사 정보 등록 → 주거안정 장학금 선택
  4. 약관 동의 및 본인 정보 입력 후 완료

3️⃣ 원거리 진학 인정 기준

  • 원거리 진학자란? 대학 소재지와 부모님 주소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있는 경우

📌 사례별 판정

  • 서울(대학) ↔ 경기 성남(부모님): ❌ 같은 수도권 → 불인정
  • 대전(대학) ↔ 서울(부모님): ✅ 서로 다른 권역 → 인정
  • 경남 창원(대학) ↔ 경남 진주(부모님): ❌ 인접시 → 불인정
  • 전북 전주(대학) ↔ 전북 남원(부모님): ✅ 다른 권역 → 인정

4️⃣ 지원 가능한 주거비 항목

  • 임차료: 자취방 월세, 기숙사비, 고시원비
  • 주거 유지비: 관리비, 수도세, 연료비
  • 대출 이자: 주택 임차 관련 저당 차입금 이자

👉 단순 월세뿐 아니라 생활 필수 비용까지 지원됩니다.


5️⃣ 유의사항 및 문의처

  • 신청은 반드시 학생 본인 명의로 해야 하며 대리 신청 불가
  • 기초/차상위 자격이 있더라도 가구원 동의 절차를 완료해야 지원 가능
  • 문의: 한국장학재단 상담센터 1599-2000




반응형